목록Java (117)
hyeonga_code
- 반복문 - 조건이 참일 경우 반복하여 실행합니다. - 조건이 거짓이 된 경우 무한 루프를 빠져나옵니다. - 조건식의 변수로 i > j > k 를 많이 사용합니다. - while/for 비교 - while : 조건에 의한 반복 - for : 수치에 의한 반복 - break - 반복을 종료하는 경우 사용합니다. - 자신이 포함된 하나의 반복문 또는 switch문을 빠져나옵니다. - continue - 다음 반복으로 넘어가는 경우 사용합니다. - 자신이 포함된 반복문의 끝으로 이동합니다. - 이후 코드들은 실행되지 않습니다. - for - 반복 횟수가 중요한 경우에 사용합니다. - 조건이 거짓인 경우 단 한 번도 실행하지 않습니다. 1) 단일 for 문 for ( 초기화 ; 조건식 ; 증감식 ) { 조건이..
- 실습 > Q. 임의의 정수를 입력 받아 큰 수를 알려주기 'ControlPrac.java' =====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package basic; //모든 클래스는 패키지 안에 생성합니다. import java.util.*; public class ControlEx { // 모든 함수_메소드는 클래스 안에 작성합니다.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// Java의 모든 코드는 함수 안에 작성합니다. Scanner in = new Scanner(System.in); System.out.println("Input number 1: ");..
- 제어문 - 조건문 - 조건식과 실행될 하나의 문장이나 Scope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 - 반복해서 같은 코드를 수행할 경우 사용합니다. - 조건식과 수행할 Scope, 문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 - 조건식의 결과는 true/false 여야 합니다. - boolean 을 조건식에 바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. 4) 중첩 if 문 if ( 조건식 1 ){ 조건식 1 이 참일 경우 실행될 코드 if ( 조건식 2 ){ 조건식 1 이 참이면서 조건식 2 가 참인 경우 실행될 코드 } else { 조건식 1 이 참이면서 조건식 2 가 거짓인 경우 실행될 코드 } } else { 조건식 1 이 거짓인 경우 실행될 코드 } - switch - case switch( 조건식 ){ // 조건식의 계산결과와 일치하는 c..
- 제어문 - 조건문 - 조건식과 실행될 하나의 문장이나 Scope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 - 반복해서 같은 코드를 수행할 경우 사용합니다. - 조건식과 수행할 Scope, 문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 - 조건식의 결과는 true/false 여야 합니다. - boolean 을 조건식에 바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. 'ControlEx.java' ===== 1 2 3 4 5 6 7 8 9 10 package basic; public class ControlEx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boolean c = 3 > 2; // c = true if ( c ) { System.out.println("3 > 2"); } } } cs 1) if if ( 조건식 ) { ..
-- 여러 줄 입력 'InputTest.java' =====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package com.java.exam03; import java.awt.image.BufferedImage; import java.io.BufferedReader; import java.io.IOException; import java.io.InputStreamReader; public class InputExam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throws IOException { // 여러 줄 입력 /*..
-- 단자리 입력 - Enter 값도 인식하므로 제거하는 코드가 필요합니다. - System.in.read();를 연속으로 두 번 작성하면 Enter 값을 한 번 제거할 수 있습니다. 'InputTest.java' =====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package com.java.exam01; import java.io.IOException; public class InputTest { public static void main..
- DP_Design Pattern_디자인 패턴 - 유연한 코드의 집합입니다. - 재활용이 쉬운 코드의 집합입니다. - Spring Framework - 실습 =====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package basic; //모든 클래스는 패키지 안에 생성합니다. // imp..
- 변수의 충돌 - 변수의 범위를 최소한으로 주는 것이 좋습니다. - 동일한 함수 내에 동일한 변수 이름을 사용하기 - 모든 변수 선언부를 각각 Scope로 묶어주어야 합니다. =====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package basic; //모든 클래스는 패키지 안에 생성합니다. public class OperatorEx { // 모든 함수_메소드는 클래스 안에 작성합니다.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// Java의 모든 코드는 함수 안에 작성합니다. { int a = 10; int b = 20; System.out.println(a + ..
- 연산자 우선순위 - 최우선 >> 단항 >> 산술 >> 시프트 >> 비교 >> 비트 >> 논리 >> 삼항 >> 대입 - 산술 >> 비교 >> 논리 >> 대입 - 단항 >> 이항 >> 삼항 - 최우선 연산자 - [], (), . -- 연산자 - 최우선 [] () - 단항 연산자 ! ~ + - ++ --(전위형) (cast : 자료형변환) - 항이 하나 - instanceOf ***** - A ap - ap instanceOf Object : ap가 Object로 변환될 수 있는지 - 산술 연산자 * / % + - - 시프르 연산자 >> > x = 10 x 2 0000 1010 00 0010 (10) : x*(1/2^2) - 앞의 채우는 값 - 양수 0 - 음수 1 - 뒤의 날아가는 값 : overflow..
- Operand_피연산자 - 연산자의 작업 대상 - Operator_연산자 - 어떠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 - 연산자보다 오류의 파악이 중요합니다. - 유형 - 대입 연산자_ = - 오른쪽의 값을 왼쪽의 변수에 저장합니다. - 피연산자는 상수가 아니어야 합니다. a += b a = a + b a -= b a = a - b a *= b a = a * b a /= b a = a / b a %= b a = a % b a b a >>>= b a = a >>> b a &= b a = a & b a ^= b a = a ^ b a |= b a = a | b a *= b + c a = a * ( b + c ) - 쉬프트 연산자 - 비트 연산자 - 정수를 2진수로 표현했을 때 1 > 0, 0 > 1 로 바꿔서 표시합니다..